kb 부동산 시세 조회 방법과 이용팁
kb 부동산 시세 조회 방법과 이용팁
아파트 실거래가를 확인하기 위한 대표적인 3곳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네이버 부동산 그리고 kb 부동산 시세 입니다. 부동산을 비교하는 분들에게 모두 필요한 홈페이지이지만 kb 부동산 시세는 조회뿐 아니라 LTV에 이용되기 때문에 계획을 세울때 많이 참고하게 됩니다.
오늘은 kb 부동산 시세를 이용해 실거래가를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텐데요. 홈페이지가 워낙 잘 구성되어 있어서 알아두고 이용할때 참고될만한 방법을 살펴 보겠습니다.
kb부동산시세 확인을 위해서는 매물/시세로 들어가서 지역이나, 아파트명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지도에서 해당지역 또는 단지명 등으로 검색후 아파트 실거래가를 비교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지도에서는 간단하게 준공년수, 면적 등의 매물 정보가 나옵니다.
원하는 아파트를 선택하고 시세/실거래가 탭을 보면 매매가, 전세가, 월세가가 나옵니다. 이때 금액은 하위, 일반, 상위 평균가로 나누어져 있고, 이중에서 잘 봐야할 가격은 일반평균가입니다. LTV 실행시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시세변동추이, 최근 6개월 실거래가도 표로 제공하기 때문에 한번쯤 확인해 보는게 좋습니다. 가끔 부동산 거래 가격이 튀기도 하고, 부자연스러울때가 있기 때문에 6개월 정도는 기본적으로 봐야 합니다.
또한 주변 단지와 비교를 한눈에 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에 대해서 좀더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합니다. KB 부동산 시세 조회 방법을 확인했는데요. 이제 좀 더 잘 이용하는 팁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개인적으로 KB 부동산 시세의 꽃이라고 생각하는 우리집관리 기능입니다. 로그인 후 최대 5건까지 우리집을 등록하면 구입한 시기 이후 가격의 변동, 현재 우리집의 매매, 전세가격 등의 시세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현재 사는집, 관심있는 집을 등록해 놓으면 너무 쉽게 정보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우리집 현황으로 들어가면 아파트종합보고서를 볼 수 있고, 우리집 기본 정보뿐만 아니라 매물, KB시세정보, 학군, 시설 그리고 인근 개발 정보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너무 좋지 않나요?
우리집에 대한 정보를 이렇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곳은 없을꺼 같아요. 아쉬운점은 따로 다운이 되지는 않습니다.
또하나 kb 부동산 시세를 이용할때 좋은 기능은 분양 정보입니다. 청약 가점을 바로 확인할 수 있고, 관심지역을 등록하면 청약 일정이 뜰때마다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도 청약으로 내집마련을 했는데요. 청약으로 내집 마련을 하면 시간이 조금 오래 걸리지만, 당장 큰 목돈이 없어도 가능하다는 점 같습니다. 금주의 분양정보를 이메일로 받아 볼 수도 있기 때문에 kb 부동산 시세 조회를 할때 같이 이용해 보시면 정말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