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증 검사항목 알고 가세요.
보건증 검사항목 알고 가세요.
며칠전부터 알바를 하게 되서 보건증을 제출하게 되었습니다. 보건증은 해당 업종에 근무하는 직원 뿐만 아니라 알바들도 모두 해야 된다고 하더군요. 검사를 맡으러 가니 보건소 비용도 저렴하고, 생각해 보면 우리나라 보건소는 정말 잘 되어 있는 것 같아요. 오늘은 보건증 검사항목과 발급비용까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보건증 검사항목 비용을 먼저 살펴 볼께요. 보건증 발급을 위한 검사비는 이번에 인상이 되었는데요. 기존에 1500원에서 3000원이 되었습니다. 인상폭은 크지만 비용자체는 저렴한 것 같습니다. 참고로 보건증 유효기간은 1년입니다. 1년 후에는 검사를 통해 보건증을 재발급 받아야 합니다.
결제 방법은 현금과 카드 모두 가능하고, 보건증 검사를 받을 때는 각 관할 보건소 지점 어느 곳이든 상관 없고, 보건증 발급을 받을때는 검사 받은 보건소 외 다른 보건소에서도 가능합니다. 물론 인터넷 발급도 가능해요. 그리고 여기서 한가지 중요한점!! 신분증을 꼭 소지해야 보건증에 필요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증 검사항목은 3가지 입니다. 첫번째로 검진이 있습니다. 검진은 말그대로 일반진료실에서 피부 질환에 대한 검사를 받습니다. 손과 손가락에 피부 질환이 있지는 않는지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두번째는 중요한 흉부 X-RAY입니다. 단 임산부의 경우에는 X-RAY를 받으면 몸에 좋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객담검사로 대체 하고 있습니다. 객담검사는 가래 검사를 말하는데요. 즉 임산부 스스로도 이런 사항을 알고 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세번째 보건증 검사항목은 직장도말 검체 채취입니다. 흔히 알고 있는 대변검사인데요. 음식물을 매개로 해서 사람간에 전염되는 전염병인 장티푸스 보균검사를 뜻합니다.
보건증 검사항목은 위 3가지가 끝인데요 실제 검사 소요시간은 10분 내외입니다. 다만 보건소는 월초, 말은 사람이 많이 몰릴 수 있어서 이때는 시간의 여유를 가지고 방문하는게 좋습니다. 검사결과가 나오기 까지는 4~5일 정도 걸립니다.
마지막으로 보건증 수령할때도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물론 대리인 수령 방법도 있습니다. 이때는 검진자 신분증과 대리인 신분증을 모두 가져가야 해요. 만약 일정이 바빠서 방문이 어려울때는 검사장소가 아닌 가까운 보건소에서도 수령할 수 있고, 인터넷으로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얼마전까지 검사 받은 보건소에서만 수령할 수 있었는데 이번에 편리하게 변경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