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G PAY 사용처, 슥 알아봤음.

Posted by 친절한문부장
2019. 2. 19. 22:08 카테고리 없음

 

 

SSGPAY는 신세계에서 만든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입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상품권은 롯데상품권과 신세계 상품권 양대산맥이 있는데 롯데를 신세계가 바짝 뒤쫒는 모습입니다. 신세계 상품권을 확인해보면 홀로그램이 붙어 있는 경우와 없는경우가 있죠.

 

 

 

이때 홀로그램이 있으면 스마트폰을 이용해 신세계 상품권을 SSGPAY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홀로그램이 없는 경우는 신세계 고객센터를 직접 방문해서 교환이 가능해요. SSGPAY 앱에서 SSG MONEY를 누르고 전환할 수 있어요. 카메라를 터치하여 상품권 뒷면에 있는 번호를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충전이 되거나, 번호를 직접입력하는 방법으로 전환을 할 수 있습니다.

 

 

SSG PAY 최대 보유 한도는 50만원입니다. 온라인으로 전환한 SSG PAY이지만 꼭 온라인 쇼핑만 가능한 것은 아니고 오프라인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그리고 여기서 꼭 알아두면 좋은 점은, 온라인에서 사용할때도 오프라인과 마찬가지고 금액의 60%를 이용 후 포인트 전환하여 현금으로 환불도 가능합니다.

 

 

SSG PAY 사용처 ① 오프라인

 

 

ssg pay 오프라인 사용처는 신세계백화점, 이마트, 에브리데이, 이마트24, 트레이더스, 스타필드, 면세점, 신라호텔, 프리미엄 아울렛, 디지털 프라자, 스무디킹, 스타벅스, 올반, 에그톡스, 자니로켓 등등 엄청 많은 사용처가 있습니다. 너무 많아 다 적지 못했으니 그림들을 참고해 주세요.

 

 

 

 

신세계 계열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제가 좋아하는 데블스도어에서도 사용할 수 있네요.

 

SSG PAY 사용처 ② 온라인

 

 

온라인은 오프라인보다 더 많은 곳에서 이용이 가능합니다. SSG, 신세계 TV, 면세점, JAJU, 서울시공과금, 아파트아이, 삼성화재, 구글플레이, 제주항공, 서울랜드, 우체국, 대교, 아임닭, 경북대학교, 등등 너무 많아서 다 언급하기 힘들정도 네요.

 

사진으로 꼭 확인해 주세요. 아파트 아이 앱을 통해 관리비 정산도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 더욱 인기 있는 슥페이인데요 지류 상품권을 가지고 있으면 분실 위험도 있고, 사용하기 편리한 슥페이로 변경해 주는것도 방법이겠죠?